2 분 소요

본 글은 2021년 4월에 강의한 스탠포드 대학의 “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Visual Recognition” 2021년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, 설명이 맞지 않거나 글 오타가 있으면 알려주시길 바랍니다.

원본 링크 : cs231n.stanford.edu
한글 번역 링크 : aikorea.org - cs231n
강의 링크 : youtube - 2017 Spring (English)




Mini-batch SGD

  • 미니 배치 SGD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.
    • 배치(batch) : GPU가 한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묶음 1
  1. 배치 단위의 데이터를 샘플링한다.
  2. 그래프 신경망(graph network)를 통해 정방향(forward)으로 전달하여, 손실(loss)을 얻는다.
  3. 그레이디언트를 계산하는 역전파(backpropagation)
  4. 그레이디언트로 파라미터 값을 업데이트한다.
  • 위 과정을 반복한다.



Training Neural Networks

  • Part 1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    • 활성화 함수(Activation Function)
    • 데이터 전처리(Data Preprocessing)
    • 가중치 초기화(Weight Initialization)
    • 배치 정규화(Batch Normalization)
    • 전이 학습(Transfer Learning)


Activation Functions

  • 입력 이미지가 들어와 가중치 $W$와 곱해진다.
  • 이후, 활성화 함수를 통과한다.


  • 다음 그림은 활성화 함수의 종류를 보여주고 있다.



Sigmoid

  • 시그모이드(Sigmoid)는 x값을 받아서 0~1사이의 값으로 뭉갠다(squash).
  • 시그모이드는 뉴런의 발사 주기(firing rate)를 해석하기에 적합하기에 역사적으로 자주 쓰였다.
    • 발사하지 않으면 0, 포화된(saturated) 발사는 1로 가정한다.



  • 하지만 시그모이드는 3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.

  • 1. Saturated neurons kill the gradients

    • 시그모이드는 포화가 되면 그레이디언트를 없앤다.
    • 활성화가 0 또는 1의 어느 한쪽 끝에서 포화되면, 그레이디언트는 거의 0이 된다.

  • 먼저 x=-10일 때 그레이디언트는 한없이 0에 가까워지고 시그모이드는 평평하게 된다.
  • x=0일 때는 역전파가 잘 작동된다.
  • x=10일 때도 x=-10일 때와 마찬가지로 그레이디언트는 한없이 0에 가까워지고 시그모이드는 평평하게 된다.

  • 결국 역방향으로 가는 모든 그레이디언트는 0이 되고 가중치는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.



  • 2. Sigmoid outputs are not zero-centered
    • 뉴런의 뒤쪽 레이어 뉴런들이 0이 중심이 아닌 데이터를 얻기 때문에 경사하강법의 역학(dynamics)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.

  • 뉴런의 입력이 항상 양수이면 어떻게 될까?
  • 모든 $w_i$에 대한 그레이디언트 부호는 upstream scalar gradient 부호와 동일해진다.


  • 즉, 모든 x가 양수라면 local gradient는 전부 양수 또는 전부 음수가 된다.
  • 가중치에 대한 그레이디언트 업데이트를 할 때 원치 않은 지그재그 경로가 될 수 있다.
  • 따라서, 입력 x가 양수와 음수를 모두 가지고 있다면, 전부 같은 방향으로 업데이트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. 2



  • 3. exp() is a bit compute expensive
    • 세번째 문제점으로 지수(exponential)함수를 쓰기 때문에 계산 비용이 커진다는 점이다.
    • 하지만, 이는 그리 큰 문제는 아니다.



tanh

  • tanh 활성화 함수는 시그모이드와 유사하지만 -1~1의 범위를 가진다.
  • 단, 주요 차이점으로 tanh는 zero centered이라는 점이다.
  • 하지만, saturated되면 여전히 그레이디언트는 낮거나 높은 값에서 여전히 0에 가까워진다.



ReLU

  • 다음은 ReLU(Rectfied Linear Unit) 활성화 함수이다. 식은 $f(x)=max(0,x)$이다.
  • 이 함수는 요소별 연산을 수행하면서 입력이 0미만의 음수면 0으로 출력하고, 양수이면 출력은 입력값 그대로 출력한다.
  • sigmoid, tanh와 비교해보았을 때 ReLU는
    1. 양수 범위에서는 saturation되지 않는다.
    2. 계산 효율이 뛰어나다. (단순 연산)
    3. 실제로 sigmoid, tanh보다 수렴속도가 약 6배 더 빠르다.
  • 실제로 신경과학적 실험을 통해 뉴런을 보면 ReLU가 더 잘 맞았다.


  • 하지만, zero-centered한 문제는 풀지 못했다.
  • ReLU는 음수 범위에서는 모두 0이 되기 때문에 그레이디언트의 절반을 죽인다.
  • 그래서 업데이트 하지 못하는 dead ReLU 현상이 나타난다.


  • 그래서 실제로 ReLU를 초기화할 때 positive biases(0.01)를 추가해 주기도 한다.
    • 이는 가중치를 업데이트 할 때 active ReLU가 될 가능성을 높여주기 위함이다.



Leaky ReLU

  • Leaky ReLU는 ReLU에서 살짝 수정된 버전이다.
  • 기울기를 줌으로써 음의 영역에도 더 이상 0이 아니게 되었다.
    • 따라서, 음의 영역에도 saturation되지 않는다.
  • 나머지 특징은 ReLU와 똑같지만, dead ReLU 현상이 없어진게 ReLU와 차이점이다.


  • PReLU는 기울기를 $\alpha$로 결정한다. 이는 역전파를 통해 학습이 된다.



ELU

  • ELU(Exponential Linear Units)는 ReLU의 이점들을 모두 가져온다.
  • zero-centered 특성에 가까워진다.
  • 하지만, Leaky ReLU와 비교해볼 때 ELU는 음의 영역에서 saturation된다.
  • 하지만 이런 saturation이 노이즈에 강인할 수 있다고 한다.
  • 또한, exp() 연산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.



SELU

  • SELU(Scaled Exponential Linear Units)은 심층 신경망의 자기 정규화(Self-normalizing)에 더 잘 작동하는 ELU의 확장 버전이다.
  • 배치 정규화(Batch Normalization)없이 심층 SELU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(고 한다).



Maxout

  • 이 활성화 함수에서는 내적의 기본적인 형태를 미리 정의하지 않는다.
  • 대신에, $max(w_1^Tx+b_1, w_2^Tx+b_2)$를 사용한다.
  • maxout은 둘 중에 최대값을 취한다.
    • 이는 saturation되지 않고, 그레이디언트를 잘 계산할 수 있다.
  • 하지만, 파라미터의 수가 두배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.



Swish

  • 다음은 Swish 활성화 함수이다.
  • 서론 다른 비선형성을 생성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신경망을 학습시킨다.
  • 깊은 레이어를 학습시킬 때 ReLU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고 한다. 3



Summary

  • Default는 ReLU를 쓴다. (하지만 학습률을 잘 따져본다.)
  • Leaky ReLU/Maxout/ELU/SELU 등을 시도해본다.
  • sigmoid/tanh는 쓰지 마라!





References

댓글남기기